ICD-O-3 조직학적 진단명(형태학) 주요 규칙
- 행태학 코드
- 형태학 코드에서 행태코드를 적절히 사용한다. 정확한 용어가 ICD-O-3에 수록되어 있지 않더라도, 5번째 자리수의 행태코드를 목적에 맞게 적절히 사용한다.
<예>척삭종(chordoma)은 ICD-O에 단 한개의 용어만이 수록되어 있고 흔히 악성신생물로 간주하므로 보통 9370/3이 부여된다. 하지만
‘양성척삭종 (benign chordoma)’ 을 등록해야 하는 경우에는 9370/0으로 코드화 할 수 있다. 행태가 ICD-O에 주어진 보통의 행태
와 다르다고 병리의사가 보고할 경우, 결과에 따라 행태코드를 바뀌어 코드화한다.
표 4. 조직형태 및 행태코드 매트릭스
ICD -10 | Example A | Example B | Example C | ||
---|---|---|---|---|---|
Basic cell type | 8140 | 9000 | 9370 | ||
행태코드 | /0 | Benign | 8140/0 Adenoma, NOS |
9000/0 Brenner tumor, NOS (C56.9) |
9370/0 |
/1 | Uncertain whether Benign or Malignant |
8140/1 Bronchial adenoma (C34._) |
9000/1 Brenner tumor, Borderline Malignancy (C56.9) |
9370/1 | |
/2 | In situ;non-invasive | 8140/2 Adenocarcinoma in situ |
9000/2 | 9370/2 | |
/3 | Malignant, primary | 8140/3 Adenocarcinoma, NOS |
9000/3 Malignant Brenner Tumor (C56.9) |
9370/3 Chordoma, NOS |
|
/6 | Malignant metastatic | 8140/6 Adenocarcinoma, metastatic |
9000/6 | 9370/6 | |
/9 | Malignant, Uncertain whether primary or metastatic |
8140/9 | 9000/9 | 9370/9 |
-암등록에 사용하지 않음
- 부위를 나타내는 형태학 용어
- 해부학적 부위가 진단에서 언급되지 않은 경우, 형태학적 코드와 같이 제시된 원발부위코드를 사용한다. 종양이 제시된 해부학적 부위 이외의 다른 부위에서 발생한 것이 확인되면, 제시된 해부학적 부위코드는 무시한다.
- 어떤 조직소견을 가진 종양은 특정한 조직이나 장기에서 특이적으로 혹은 주로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hepatocellular carcinoma는 liver에서, renal cell carcinoma는 kidney에서, retinoblastoma는 retina에서, follicular carcinoma는 thyroid에서 주로 발생한다. 따라서 이러한 조직소견을 ICD-O 책자의 알파벳 색인에서 찾아보면 조직소견 코드 옆 괄호 안에 그러한 조직소견을 가진 종양이 주로 발생하는 해부학적부위 코드가 적혀있다. 조직소견 코드 옆에 적혀 있는 코드가 모든 경우에 다 적용될 수 있는 것은 아니나, 아래와 같은 경우에는 조직소견 코드 옆의 코드를 원발부위로 부여한다.
- 조직소견은 있으나 진단에 어떤 원발부위도 명시되어 있지 않다면 제안된 부위를 코드화한다.
<예>Nephroblastoma (C64.9) → 원발부위 코드 C64.9 (Kidney)
Cystadenofibroma (C56.9) → 원발부위 코드 C56.9 (Ovary)[주의] 원발부위 불명을 의미하는 C80.9 (Unknown primary site)로 기재하지 않음
- 조직소견은 있으나 원발부위가 불분명한 신체 부위(C76._)일 때도 제안된 정확한 부위를 코드화한다.
<예> Osteogenic sarcoma of arm (C40._, C41._) → 원발부위 코드 C40.0 (Long bones of upper limb)
[주의] Arm의 불분명한 신체부위를 의미하는 C76.4 (Upper limb, NOS)가 아님
- 전이된 부위만 기재되어 있는 경우, 원발부위는 형태학 코드 옆에 제안하는 원발부위 코드를 선택한다.
<예> Metastatic follicular carcinoma of femur (C73.9) → 원발부위 코드 C73.9 (Thyroid gland)
- 주치의가 원발부위를 기재해 놓았는데 이것이 조직학적 진단명코드 옆에 적힌 원발부위와 다를 때는 주치의의 진단 결과를 확인 후 원발부위를 코드화한다.
<예>N의무기록에 주치의가 papillary cystadenocarcinoma of pancreas라고 진단한 경우 ICD-O-3에 papillary cystadenocarcin
oma 옆에 원발부위가 C56.9 (Ovary, NOS)로 기재 되어 있어도, 주치의의 진단 결과를 확인 후 pancreas에 해당하는 C25.9
로 등록한다. - Pseudo-topographic morphology terms :어떤 조직소견들은 이름 자체가 그 종양이 발생하는 원발부위를 의미하는 듯이 보이나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다. 이럴 경우에는 정확한 부위의 코드를 찾아 코딩하여야 한다.
<예1>
조직소견이 bile duct carcinoma로 되어 있으면 단순히 원발부위가 bile duct로 생각되어 C24.0 (Extrahepatic bile duct)로 코딩하기 쉽다. 그러나 이 조직소견은 간내의 intrahepatic bile duct 에서 발생하는 cholangiocarcinoma와 혼용하여 사용하는 용어이므로 원발부위는 C22.1 (Intrahepatic bile duct)로 코딩할 수도 있다.<예>
minor salivary gland라는 용어는 oral cavity나 그 주변 장기들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조직소견들과 함께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이다. 따라서 해당 종양이 발생한 minor salivary gland보다 자세한 위치가 원발부위로 기재되어야 한다. 조직소견이 minor salivary gland adenoid cystic carcinoma of the hard palate라고 되어 있다면 원발부위는 C05.0 (Hard palate)가 되어야 한다. 자세한 원발부위에 대한 정보가 없이 minor salivary gland adenoid cystic carcinoma 라고만 되어 있다면 원발부위는 Minor salivary gland, NOS가 포함되는 C06.9 (Mouth, NOS)로 코딩한다.
표 5. 부위관련 형태학 용어의 예
Mcode | Morphology | 일반적인 원발부위(ICD-O) | 기타 원발부위(ICD-O) |
---|---|---|---|
9510/3 | Retinoblastoma | C69.2 Retina | - |
9570/3 | Hepatocelluar carcinoma | C22.0 Liver | - |
8090/3 | Basal cell carcinoma | C44._ Skin | C51._ Vulva C60._ Penis C63.2 Scrotum C61.9 Prostate |
9530/0 | Meningioma | C70._ Meninges | - |
9510/3 | Retinoblastoma | C69.2 Retina | - |
938_~ 948_ | Glioma | C71._ Brain | C72.0 Spinal cord |
8500/3 | Infiltrating duct carcinoma, NOS | C50._ Breast | C07.9 Parotid gland C08._ Salivary gland C25._ Pancreas C61.9 Prostate |
8470/3 | Mucinous cystadenocarcinoma, NOS | C56.9 Ovary | C25._ Pancreas C34._ Lung |
- 해당규칙 없음
- (ICD-O-2의 규칙1 과 혼선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하지 않음)